제 고향인 북한 함흥에서 1997년부터 1999년 사이에 많은 사람들이 사망했습니다. 이른 봄, 사람들은 길가에 지쳐 앉아있거나 길바닥에 쓰러져 시신을 눕혔습니다. 여름이 되면서 시신 수가 증가했고, 도시 곳곳에서 사망자가 발생했습니다. 거리 곳곳에 흩어진 시체를 치우는 일을 하는 ‘시체 처리반’이 있었습니다. 처리반이 수거한 시신은 인근 언덕 아래에 묻혔습니다. 대부분은 신원이 확인되지 않은 채 하나의 큰 구멍에 함께 버려졌습니다. 얼마 지나지 않아 함흥 근처의 모든 언덕은 무덤으로 가득 찼습니다. 친구 집으로 가는 길에 있는 작은 언덕에서 매일 새로 파낸 무덤이 나타나는 것을 발견했습니다. 얕은 무덤 주변에 새들이 모여들어 시체에 남은 고기를 쪼아먹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우리 가족은 죽음을 피하지 못했습니다. 삼촌은 굶주림에 지쳐 도시를 떠돌았지만 굶주림으로 죽기도 전에 콜레라로 세상을 떠났습니다. 부모님 모두 몸이 쇠약해지셨고, 차례로 ‘파라티푸스’라는 전염병에 걸리셨습니다. 어느 정도 회복되자마자 저는 콜레라에 걸렸습니다. 피부와 뼈만 남은 시신들이 통곡 소리와 함께 이송되는 전염병 병동에서 저는 죽음이 두렵지도 않았습니다. 그해 여름, 저를 포함한 소수의 사람들만 병원을 떠났습니다.
굶주림과 질병으로 죽어가는 것을 마냥 기다릴 수 없어 20세기 초 일제 강점기 때 중국 동북지방에 정착한 중국 친척들을 찾아가기로 했습니다. 어머니와 저는 중병에 걸린 아버지에게 열흘 안에 돌아오겠다고 약속하고 중국으로 떠났습니다. 마침내 두만강을 건너 중국으로 향했을 때 저는 할 말을 잃었습니다. 친척들이 남은 흰쌀밥을 개에게 주는 것을 당연하다는 듯이 지켜보았습니다. 옥수수 한 알도 먹지 못한 채 굶어 죽어가는 수많은 사람들의 모습과 함께, 먹다 남은 흰 쌀밥을 아무렇지도 않게 먹는 개를 보며 저는 경악을 금치 못했습니다. 이 장면의 충격이 가시지 않았습니다. 제가 겪은 공포의 심각성을 제대로 파악하기까지는 몇 년이 더 지나야 했습니다.
중국에서 4일을 보낸 후 쇼핑몰에서 납치되었는데, 남자 네 명이 저를 붙잡아 차에 태웠습니다. 한 남자가 한 손으로 제 손을 등 뒤로 잡았습니다. 그의 다른 손에는 칼이 들려 있었습니다. 그들은 저를 몇 시간 떨어진 강가로 데려다 주었고, 그곳에서 다른 두 남자가 다른 차를 가지고 기다리고 있었습니다. 그들은 저를 위해 협상을 하고 있었고, 두 명의 남자가 저를 한 아파트로 데려갔는데, 그곳에는 또 다른 남자가 19세 북한 소녀를 붙잡고 있었습니다. 브로커들은 우리를 ‘더러운 북한 여성’이라고 부르며 구타했습니다.
다음 날, 두 명의 다른 중국 남자가 저와 다른 한 명의 여자를 데리고 우리를 위해 구매자를 찾으러 여행을 떠났어요. 허베이성 콴충셴의 위엔주앙이라는 산속 마을에 도착했을 때 중국인 농부가 저를 사주었습니다. 인신매매범들은 저에게 그와 함께 살 수 있고, 그곳이 마음에 들지 않으면 전화하면 데리러 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당시 저는 24살이었으며 2만 위안(3,500달러)이라는 매우 높은 가격에 팔렸습니다.
수십만 명의 탈북 여성들이 중국 시골 마을에 거주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됩니다. 콴충셴 마을에는 현지 농장에 팔려간 탈북 여성이 최소 300명 이상 있었습니다. 일부 여성들은 북한에서 굶주림에 시달리느니 차라리 중국 남성에게 신부로 팔려가겠다고 말하기도 했습니다.
두 번이나 탈출을 시도했지만 실패했는데, 마을 사람들이 모두 친척이라 모두 저를 감시하고 있었기 때문입니다. 제가 돌아오면 그들은 빗자루로 저를 때렸습니다. 문은 잠겨 있었고, 그들은 제 일거수일투족을 감시했습니다. 돈에 팔려갔다는 사실이 너무 수치스러웠고, 내가 왜 아직 살아 있는지 모르겠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저는 ‘아무도 아닌 사람’이 된 것 같았고, ‘나’라는 존재가 없는 것 같았습니다.
결국 저는 더 이상 참을 수 없었습니다. 정신이 나간 것 같았어요. 저는 절망에 빠졌습니다. 도움을 받을 수 없었습니다. 다시는 도망칠 수 없었습니다. 일주일 정도 지나고 나서 저는 큰 식칼로 자살을 시도했습니다. 칼을 배에 대고 있다가 의식을 잃었어요. 제가 자살에 성공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사람들은 제가 다시 자살을 시도할까 봐 걱정하며 저를 두려워하기 시작했습니다.
하지만 여전히 밤은 저에게 견디기 힘든 시간이었습니다. 신부를 사기 위해 돈을 빌려야 했던 중국인 남편은 제가 아내가 되기를 바랐습니다. 그래서 한자로 이렇게 적었습니다: “돈으로는 사랑을 살 수 없다.” 중국어를 할 줄은 몰랐지만 몇 마디는 쓸 수 있었어요. 그 말을 본 후 저를 대하는 태도가 바뀌었고, 제가 원하지 않는 일로 더 이상 저를 괴롭히지 않았습니다. 그는 제 이야기를 들어주려고 노력했습니다. 그때 저는 언어의 힘을 깨달았습니다. 그리고 중국어를 배우고 공부하기 시작했습니다. 저는 초등학교부터 고등학교까지 교과서를 빌렸어요. 그리고 우리 집에 온 사람들이 이 책들을 읽었고, 저는 그것을 녹음했습니다. 6개월이 지나자 마침내 중국어로 원하는 것을 말하고 소통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2001년 2월, 저는 마침내 농장에서 탈출했습니다. 저는 팔려간 여성으로서의 운명을 받아들이고 싶지 않았습니다. 추운 겨울이었습니다. 아무것도 안 가져왔는데요. 이틀 정도 돌아다니다가 마을 주변 논밭에서 잠을 잤어요.
중국에서 7년간 생존하며 중국어를 공부한 저는 미국 망명을 신청하기 위해 중국 경비를 뚫고 미국 대사관으로 들어갈 수 있었지만, 대신 한국으로 보내졌습니다.
북한을 떠난 지 7년 만에 남한으로 탈북했습니다. 정착지원센터(하나원이라는 곳) 교육이 끝난 첫날, 서울에 갔다가 간판이 하나 걸려 있는 것을 보았습니다: “북한인권을 위한 시민연합”.
표지판에서 눈을 뗄 수가 없었어요. 인권! 그 순간까지 이런 말을 들어본 적이 없었습니다. 인간에게도 권리가 있나요? 새로운 개념이었습니다. 우리에게 권리가 있다는 것이 사실인가요? 무언가에 깊은 감동을 받았는데 설명할 수 없었습니다. 사람들은 북한 주민들의 인권과 존엄성을 위해 일하고 있었습니다. 아직 북한에 있는 사람들을 위해 울고 싶었습니다.
우리 북한 주민에게는 권리가 있습니다. 우리는 굶어 죽지 않을 권리, 매일 김일성과 김정일의 초상화에 절을 강요당하지 않을 권리, 경건하게 청소할 권리, 하고 싶은 말을 하고 감옥에 보내지지 않을 권리가 있습니다. 우리는 자유로운 나라에서 살 권리가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인권’입니다.
5년 후인 2011년, 캐나다 글로벌 어페어스는 존 디펜베이커 인권 및 자유 수호자상을 제정했고, 북한인권시민연합이 첫 번째 수상자로 선정되었습니다. 저는 캐나다 오타와에서 그 역사적인 순간을 함께했습니다.
12월 10일은 인권의 날입니다. 1948년, 유엔 총회는 세계 인권 선언을 채택했습니다. 그들은 제2차 세계대전이나 홀로코스트와 같은 비극을 피하기 위해 모든 국가에 호소했습니다. 75년이 지난 지금도 북한에서는 비슷한 인권 침해가 계속되고 있습니다. 2차 세계대전 당시 다른 인종과 국가의 사람들이 박해를 받았지만, 김씨 일가 정부는 자국민을 육체적, 정신적 노예로 만들고 국경이라는 벽 뒤에 가두어 사람들을 가두어 두었습니다.
활발한 북한 인권 운동은 이 범죄와 싸우는 힘이며 김정은의 핵무기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북한 주민들이 인권과 자유가 무엇인지 알게 되면, 김씨 일가가 자신들의 권리와 자유를 박탈하고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될 것입니다. 김씨 일가의 핵무기에 대응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북한 주민들에게 진정한 인권이 무엇인지 알고 이를 북한 정부에 대항할 수 있는 진정한 힘을 부여하는 것입니다.